반응형

Java Backend 개발자 되기/Spring Boot 3

Spring Boot 콘솔 애플리케이션에서 H2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TCP 서버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 -->✅ Spring Boot 콘솔 프로젝트에서 H2 DB를 TCP 서버 모드로 설정하는 이유Spring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H2 인메모리 DB를 사용하는것과 마찬가지로 Spring Boot로 콘솔 기반 프로젝트에서도 H2 DB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그런데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H2를 사용할 때처럼 콘솔 프로젝트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웹 애플리케이션과 콘솔 애플리케이션은 구조적으로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 vs 콘솔 애플리케이션의 차이점구분Spring 웹 애플리케이션Spring 콘솔 애플리케이션실행 방식서버로 실행됨 (8080 등에서 계속 대기)메인 메서드 실행 후 바로 종료H2 DB 유지실행 중엔 메모리 DB 유지 가능애플리케이션 종료..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의 부트스트랩(Bootstrap) 과정 알아보기

Spring Boot에서의 부트스트랩이란? 일반적으로 부트스트랩(Bootstrap)이란 어떠한 과정이 시작되어 알아서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컴퓨터의 부팅 과정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것입니다. 우리가 컴퓨터 전원을 켜게 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이 내부적으로 진행이 됩니다 전원을 켜면 컴퓨터 전원이 잘 공급되는지를 확인한다. 중앙 처리 장치의 상태를 점검한다. ROM에서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 및 램과 같은 주요 기본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서 정상 동작 유무를 확인한다. 운영체제를 램으로 읽어 들여서 실행한다. Spring Boot에서의 부트스트랩도 컴퓨터 부팅 과정과 유사합니다.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이 되면, 클라이언트가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

@SpringBootApplication 의 역할

[코드 1-1]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Coffe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CoffeeApplication.class, args); } } [코드 1-1]과 같이 Spring Boot Application 클래스에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을 추가하면 기본적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Spring Boot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도록 해줍니다. 그렇다면 @SpringBootApplication 은 내부적으로 어떤 기능을 하는 걸까요? @SpringBootApplication 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능을 활성화 하는데 사용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