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 입문자 2

[4편] 1부 이후, 2부에선 어떤 걸 배우게 될까?

“작은 프로젝트 세 개를 해보니, 이제 조금은 애플리케이션 구현에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그다음엔 뭘 해야 하죠?”1부 강의를 끝낸 분들이 종종 묻는 질문입니다.그리고 이 질문이 나오는 순간, “이제부터가 진짜구나”라는 답을 드리고 싶어요.🚪 1부는 입문, 2부는 확장입니다1부에서 우리는콘솔 기반의 작은 프로젝트를 통해설계 → 구현 → 검증이라는 사이클을직접 여러 번 반복해 봤습니다.그 과정에서 “어떻게 나눌까?”, “이건 어떤 책임이지?”이런 객체지향적 질문들을 훈련했죠.하지만 현실에서의 프로젝트는이보다 조금 더 복잡하고, 더 유연한 구조를 요구합니다.그걸 경험해 보는 게 바로 2부의 목표입니다.🧱 2부에서 바뀌는 것들✅ 프로젝트의 성격이 달라집니다1부: 기능 중심 / 단순한 구조2부: 실제 ..

[2편] 작은 프로젝트에서 배우는 객체지향

“객체지향이 중요하대서 이론은 공부했는데...막상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모르겠어요.”Java를 공부한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입니다.책을 보고 개념은 어느 정도 이해했는데,직접 객체지향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본 경험은 거의 없다는 거죠.🎯 객체지향은 '이해'보다 '적용'이 어렵다추상화, 캡슐화, 상속, 다형성…책으로 보면 뭔가 멋져 보이는데막상 프로젝트에 쓰려고 하면 어디에 써야 할지 막막하죠.특히 작은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굳이 클래스를 나눠야 해?”, “이걸 인터페이스로 만드는 게 맞아?”같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그런데 바로 이런 혼란과 시행착오 과정이진짜 객체지향을 습득하게 해주는 가장 좋은 기회입니다.🛠 작은 프로젝트 = 객체지향 훈련장작은 콘솔 프로젝트라도역할 분리 → 책임 분리 ..

반응형